이 사이트는 기술 쿠키(필수) 및 분석 쿠키를 사용합니다.
탐색을 계속하면 쿠키 사용에 동의하게 됩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 처럼 되기 – 시대를 초월한 인터뷰 – 속초 공연

POSTER PINODIA SMALL

기간: 2025년 3월 27일, 17:00

장소: 피노디아,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엑스포로 75

예약: 1899-9483

 

불가능한 인터뷰 형식을 통해, 마시밀리아노 피나체르 플로리 연극배우는 “물리적으로” 레오나르도가 다시 살아온 듯이 인터뷰 진행자(한지훈 역)와 대화를 나눕니다. 피나체르는 르네상스 시대의 의상을 착용하고,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얼굴을 사실적으로 재현해 정신과 존재를 완벽하게 재현합니다. 그는 르네상스 시대의 말투를 구사하고,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저서 《회화론(Trattato sulla pittura)》과 여러 기록에서 발췌한 텍스트를 인용해 그의 생각과 감정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피나체르는 레오나르도 다빈치 손동작과 표정을 연구해 재현하고 초상화로 추정되는 그림을 면밀히 분석해 레오나르도 다빈치 만의 독특한 제스처와 미묘한 표정 변화까지 포착합니다. 현대 사회를 대표하는 인터뷰 진행자 및 관객과 르네상스 시대의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대비시키는 구도로 그가 지닌 사상이 시대를 초월한 혁신이라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말을 인용해, 피나체르는 그의 어린 시절부터 예술과 과학에 대한 열정을 키워온 과정과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얻은 경험과 통찰에 대해 깊이 있는 생각을 관객에게 전달합니다.  그는 “훌륭한 화가(bono pittore)”가 되기 위한 조건, 예술과 과학의 상호 관계뿐 아니라 회화와 조소, 음악과의 관계에 대해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생각을 풀어냅니다. 또한 해부학, 식물학, 수학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그의 깊이있는 지식과 통찰을 공유하며, 그의 대표작 최후의 만찬에 대한 레오나르도의 생각을 들어봅니다.

당대 유행했던 회화 방식과 그를 비판하는 사람들에 대한 생각, 영혼의 움직임, 인간의 비행에 대한 예언, 그리고 우리 시대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격언과 잠언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생각을 전달합니다. 이를 통해 관객들은 예술과 과학에 대한 열정, 인간과 자연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경험하며 그의 삶과 작품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얻게 됩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 되기(Essere Leonardo) 공연은 베니스의 라 페니체 극장(Teatro La Fenice), 뉴욕의 모건 라이브러리 (Morgan Library), 워싱턴의 케네디 센터(Kennedy Center), 시카고, 샌프란시스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에르미타주 (Hermitage), 일본, 호주, 몽골, 카자흐스탄, 그리고 제네바의 CERN에서 상연되었다.

공연 시간: 인터미션 없이 60분

 

마시밀리아노 피나체르 플로리 약력:

마시밀리아노 피나체르 플로리(Massimiliano Finazzer Flory)는 연극 및 영화 배우, 연출가, 프로듀서이다. 그는 2005년 밀라노의 유명한 피콜로 테아트로(Piccolo Teatro)에서 연극배우로 데뷔했으며, 현재 이 극장의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그 이후로 그는 30개국 이상에서 자신의 작품을 선보였으며, Rai Cinema를 위해 여러 편의 영화를 연출 및 제작했다. 그중에서도 연극을 기반으로 한 다수의 상을 수상한 영화 「레오나르도 다 빈치 되기(Being Leonardo da Vinci)」가 대표적이다.

마시밀리아노 피나체르 플로리는 또한 밀라노 대성당의 예술 감독을 맡고 있으며, 활동하면서 이탈리아어 보급과 보존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탈리아 의회로부터 평생 공로 메달(Lifetime Achievement Medal)을 포함한 여러 상을 수상했다. 또한 그는 퀴리날레 궁(Palazzo del Quirinale)에서 이탈리아 대통령 세르조 마타렐라(Sergio Mattarella) 앞에서 공연하는 영예를 안았다.

한지훈 약력:

서울예술대학교 연극과, 경원대학교(현 가천대학교) 성악과, 이탈리아 마스카니 국립음악원, 밀라노 시립음악원 최고 오페라 연주자 과정을 졸업하고, 경기대학교 공연예술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유학 중 여러 국제 콩쿠르에서 수상한 바 있으며, 현재 서울예술대학교 공연학부 연기전공 전임교수로 재직 중이며, 연극과 뮤지컬에서 배우 및 보컬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주최: 주한 이탈리아 문화원
  • 협력: 피노디아